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Java
- ElasticSearch EdgeNGram
- Bean Factory란
- 안드로이드
- ElasticSearch 동의어 파일
- ElasticSearch 동의어 사전
- Spring Servlet이란
- H2
- 계산기
- ElasticSearch Shingle
- Spring Handler
- spring 장점
- elasticSearch
- Dispathcher Servlet이란
- ElasticSearch NGram
- ElasticSearch 토큰필터
- 동의어 파일
- Servlet 멀티 스레딩
- layout
- Spring Container란
- 인텔리제이
- 안드로이드스튜디오
- 자바
- ApplicationContext란
- H2 DB
- Servlet과 Thread
- Servlet Life Cycle
- ContextLoaderListener란
- Servlet Container란
- 토큰필터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17)
결국 무엇이든 해내는 사람

public class MyInterceptor implements HandlerInterceptor { public boolean preHandle(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Object handler) throws Exception { // Request, Response를 교체할 수 없고 boolean 값만 반환 가능 return true; } }

글의 목표 글을 짧고 내용은 간결하게 작성 내가 내 글을 보고 복습할 수 있게 작성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Spring에서 Handler란?Spring MVC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처리자를 Handler라고 한다. 그러면 Spring MVC에서의 Handler는 누구인가?바로 Controller 클래스를 의미한다. 그리고 그 Controller 클래스에 있는 "@GetMapping, @PostMapping"같은 애너테이션이 붙어 있는 메서드들을 핸들러 메서드라고한다.@Controller public class UserController { //===핸들러====..

글의 목표 글을 짧고 내용은 간결하게 작성 내가 내 글을 보고 복습할 수 있게 작성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어떤 블로그를 읽어도,, 한방에 이해가 되진 않더라,,내가 지식이 부족한 것도 있겠지만 뭔가 쌈@뽕하게 이해되는건 없길래,,, 여러 유튜브 강의와 블로그를 참조해가며 흐름의 순서대로 글을 작성해보려고한다. 톰캣으로 요청이 들어오면 제일 먼저 "web.xml"이 반겨준다.이 web.xml에서 Spring 내부로 들어가기 위해 2가지 일을 한다. 먼저 DispatcherServlet이 동작을 한다. 이 DispatcherServlet은 "Component Scan"을 한다.D..

2024.02.18 - [본격적인 공부 노트/Spring] - Spring Servlet 쉽게 쉽게 알아보자 우리가 요청을 받을 때 무조건 Spring에서도 동작을 하는 것이 아니다. 정적인 파일을 요청할 경우는 아파치만 돈다. 이런 정적인 파일을 요청할 경우 톰캣은 동작하지 않고 아파치만 동작한다. 요청을 할 때 정적인 파일이 아니라 Java 파일을 요청하게되면 톰캣이 일을 한다. 자원 접근 방식에는 크게 URL, URI 방식이 있는데, URL은 자원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주소 요청방식이고 URI는 식별자를 통해서 접근하는 주소 요청방식이다. Spring은 파일들을 직접 요청하는 URL 접근 방식을 막아놨다. 그러면 식별자를 통해서 요청을 해야하는데 요청이 식별자를 통해서 전달되니 특정한 파일을 요청..

Spring Container는 Bean 생명 주기를 관리한다. "Spring Container = DI Container" 로 생각하자. Bean을 관리하기 위해 IoC가 이용되며 BeanFactor 객체가 바로 IoC 컨테이너(=DI 컨테이너, 스프링 컨테이너)이다. 이 IoC 컨테이너를 상속하면서 부가 기능을 추가한 것이 ApplicationContext이다. 위 그림대로 Spring Container는 Servlet Container 안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즉, Spring Container는 Servlet Container와 독립적인 존재가 아니며 Servlet Container가 Spring Bean에 접근하려면 Spring Conatiner를 거쳐야한다. Spring MVC가..

서블릿(Servlet) "자바로 구현된 CGI(Common Gateway Interface)"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Servlet 클래스의 구현 규칙을 지킨 자바 프로그램" "Tomcat이 이해할 수 있는 순수 Java코드로 이루어진 서버용 클래스" 근데 CGI(Common Gateway Interface)가 뭔데? 유저가 웹 페이지를 요청했을 때 서버는 요청된 페이지를 보내준다. 그런데 유저가 form을 채운뒤에 페이지를 요청한다고 가정해보자. 이런 경우 애플리케이션에서 로직을 수행해야한다. 즉, 웹 서버는 정보를 처리해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정보를 보내고 메시지를 반환받아야한다. 만약 회원가입을 위한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한다면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김경민의 목표 글을 짧고 내용은 간결하게 작성 내가 내 글을 보고 복습할 수 있게 작성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Spring이 뭔데?Spring은 Framework이다.단어를 해석해보면 Framework의 Frame은 "틀", work는 "동작"을 의미한다."틀안에서 동작한다"라는 의미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틀안에서 정해진대로 사용한다면 내가 처음보는 Spring 프로젝트 소스를 보더라도 어느정도 이해할 수 있다는 말! Spring은 오픈소스다.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소스를 뜯어서 고쳐서 사용할 수도 있다. Spring은 IoC 컨테이너를 갖는다."Inversion..
-- "good time, good manner, good day" 같은 문장을 분석하면 "good"텀은 총 3번 저장 -- 역 색인에는 텀이 1개만 있어도 텀을 포함하는 도큐먼트를 가져올 수 있으니 -- 중복되는 텀 들은 삭제 해주어도 무방하다. -- unique 토큰 필터를 사용해서 중복되는 텀들은 하나만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 [ 주의 ] match 쿼리를 사용할 경우, unique 토큰 필터를 적용한 필드는 중복되는 텀의 개수가 1개로 되기 때문에 TF 값이 줄어들어 -- 스코어 점수가 달라질수 있다. match 쿼리를 이용해 정확도를 따져야 하는 검색의 경우 unique 토큰 필터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 unique 토큰필터를 적용하지 않은경우 GET _analyz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