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ContextLoaderListener란
- H2 DB
- 계산기
- ElasticSearch Shingle
- Servlet Container란
- 인텔리제이
- ElasticSearch 동의어 사전
- ElasticSearch NGram
- ApplicationContext란
- 안드로이드
- Java
- Spring Servlet이란
- Bean Factory란
- ElasticSearch 토큰필터
- 동의어 파일
- 토큰필터
- Servlet과 Thread
- layout
- Servlet 멀티 스레딩
- Spring Handler
- 안드로이드스튜디오
- elasticSearch
- Servlet Life Cycle
- H2
- Dispathcher Servlet이란
- spring 장점
- ElasticSearch 동의어 파일
- 자바
- Spring Container란
- ElasticSearch EdgeNGram
Archives
- Today
- Total
결국 무엇이든 해내는 사람
Spring의 요청 처리 방식? 쉽게 쉽게 알아보자 본문
반응형
2024.02.18 - [본격적인 공부 노트/Spring] - Spring Servlet 쉽게 쉽게 알아보자
우리가 요청을 받을 때 무조건 Spring에서도 동작을 하는 것이 아니다.
정적인 파일을 요청할 경우는 아파치만 돈다.
이런 정적인 파일을 요청할 경우 톰캣은 동작하지 않고 아파치만 동작한다.
요청을 할 때 정적인 파일이 아니라 Java 파일을 요청하게되면 톰캣이 일을 한다.
자원 접근 방식에는 크게 URL, URI 방식이 있는데,
URL은 자원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주소 요청방식이고 URI는 식별자를 통해서 접근하는 주소 요청방식이다.
Spring은 파일들을 직접 요청하는 URL 접근 방식을 막아놨다.
그러면 식별자를 통해서 요청을 해야하는데 요청이 식별자를 통해서 전달되니 특정한 파일을 요청할 수 없고 무조건 자바를 거쳐야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위에서 말한대로 Java를 거치게 되는 것이고 아파치는 톰캣에세 제어권을 넘겨주게 되는것이다.
즉, URL 요청은 웹서버(아파치)에서 처리하고, URI 요청은 웹어플리케이션 서버(톰캣)에서 처리한다고 이해하면된다.
톰캣은 서블릿을 생성하여 요청을 처리한다. (jsp페이지 -> .java -> .class)
반응형
'본격적인 공부 노트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Handler(핸들러)란? 쉽게 쉽게 알아보자 (0) | 2024.02.20 |
---|---|
Spring Container? ContextLoaderListener란? 쉽게 쉽게 알아보자 (0) | 2024.02.20 |
Spring Container? Spring MVC? Dispatcher Servlet 쉽게 쉽게 알아보자 (0) | 2024.02.18 |
Spring Servlet 쉽게 쉽게 알아보자 (1) | 2024.02.18 |
Spring이 뭔데? 쉽게 쉽게 알아보자 (0) | 2024.02.18 |
Comments